■ 진행 : 노종면 앵커, 박상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정철진 / 평론가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난주 호르무즈 해협 인근 이란과 맞닿아 있는 해역에서 유조선 2척이 피격을 당했습니다. 그로부터 한 달 전에도 같은 곳에서 비슷한 사건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이란의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일어난 일이어서 배경과 그 배후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의문을 키우는 요소가 하나 더 있습니다. 일본입니다. 지난주 피격 사건 당시 일본 아베 총리는 이란 최고 지도자를 만나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피격의 배후로 이란을 지목했지만 일본은 다른 입장을 내놨습니다. 뭔가 경제적인 이해가 얽혀 있는 건 아닌지 궁금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쉬워야 경제다. 오늘 더쉬운경제에서 이 문제 짚어보죠. 정철진 평론가 나오셨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 <br />안녕하세요. 호르무즈 해협 인근, 오만만이라고 하더군요. 그곳에서 유조선 피격사건이 나고 일주일이 들렀어요. 혹시 그 상황 확인해 보셨습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그렇습니다. 지난주에 유조선 두 척이 말씀하신 대로 오만만, 오만해에서 피격을 당했는데 위치가 상당히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우리가 다시는 이 위치를 안 봤으면 좋겠는데 저 화면에 나오고 있지만 페르시아만이 있고요. 페르시아만 끝에는 이라크가 있고 위에는 이란이고 밑에는 안 나오고 있지만 아랍에미리트, 저 밑이 사우디아라비아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저기서 나온 게 산유국들 아닙니까? 산유국들의 원유가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해서 오만만을 거쳐서 전 세계적으로 수출이 되는, 투입이 되는 저 지역이기 때문에 그동안 많이 나왔던 게 이란이 저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경우에는 전 세계 원유 물동량의 25%가 막히는 그런 상황이 돼서 위험하다 그런 얘기가 많이 됐는데 이번에 피격된 위치는 호르무즈 해협을 빠져나와서 오만만에 들어온 저곳에서 두 척의 유조선이 피격이 됐는데요. <br /> <br />현재까지 업데이트된 것은 미국 국방부는 피격한 것은 이란의 소행이다라고 강력 주장을 하고 있고 지난 주말에는 기자회견을 열어서 증거자료를 제출했습니다. <br /> <br />증거자료를 봤더니 배에서 일종의 이란 혁명수비대로 보이는 어떤 집단이 들어갔다가 빠져나오는 그런 모습을 공개를 하고 있는데 저기 나온 게 뭐냐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61917091429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